치킨먹고시퍼
[중급회계] 재무보고의 의의 본문
요즘 중급회계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복기차원에서 해당 내용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재무보고의 의의
-회사가 투자자, 채권자, 거래처, 감독기관, 일반 대중 등 회사의 재무정보 수요자에게 회계 정보를 알리는 행위. 회사는 내부 회계 정보를 우선 식별해 측정한 후 이를 가공해 수요자에게 알린다.
정보의 수요자는 외부 수요자와 내부 수요자로 나눌 수 있다.
외부 수요는 투자자(주주), 자금 대여자, 거래처, 유관기관 등 감독 기관, 애널리스트 등 재무 분석가, 일반 대중 등으로부터 발생하는데, 이들에게 제공하는 회계정보는 재무회계로 분류된다.
반대로 경영자 등 내부 회계 정보를 통해 의사결정을 하거나 제품 가격을 책정하고 계획을 세우는 수요는 내부 수요로 볼 수 있다. 내부 회계 정보 수요자들은 정보를 통해 성과를 평가한다. 이들에게 제공되는 회계정보는 관리회계다.
자발적인 기업의 재무보고는 주주에 대한 경영자의 수탁책임이행평가를 확인하는 과정. 그동안 경영자가 투자자로부터 받은 위임을 능률적으로 수행했는지 확인하는 것.
회계정보는 많을수록 유용하다. 투자자 입장에서 평가하자면 자발적인 기업의 회계 정보 보고로 자본 비용이 감소한다. 투자자가 투자를 결정하기 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 정보가 많은 기업은 투자자의 신뢰를 제고할 수 있어 많은 투자를 받을 수 있음.
보통 기업은 별도의 규제가 없다면 외부의 수요보다 적은 정보를 공개하는 경향이 있음. 많은 정보를 공개할수록 비용이 더 들어가기 때문. 적절한 범위에서 정보 공개를 강제하기 위한 규정이 상법, 외감법, 자본시장법 등에 규정돼 있음.
회계의 사회적 기능
회계는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한 대리인 문제를 완화해준다. 또한 정보 부족에 따른 오선택의 문제인 역선택, 경영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가령, 경영자가 하이리스크 사업을 고려할 경우 회사는 높은 수익과 높은 손실 중 하나가 발생할 수 있다. 재무정보가 적절히 공개되지 않을 경우 경영자는 주주 몰래 독단적으로 주주의 의사에 반할 수 있음.
또한 한정된 자원을 배분할 때 회계 정보가 배분에 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회계기준이 필요한 이유
-회계 정보가 유용성을 가지려면 통일된 처리 지침이 필요. 많은 회사들이 내놓는 회계정보를 통일된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게 고안된 것이 GAAP(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기준)
-세계 경제가 하나로 묶이면서 국제적으로도 통일된 회계 지침이 필요. IFRS 탄생.
-비상장사는 공개적으로 정보를 올리지 않아도 됨. IFRS 등은 불필요한 비용 증가를 초래. 따라서 상장사는 IFRS, 외감비상장사는 GAAP, 중소기업 등은 중소기업회계기준 등에 따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등의 세부 지침을 확인하려면 기업회계기준서를 참고.
'배워서 남 주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급회계] 재무보고상 개념체계 (0) | 2025.03.30 |
---|---|
[토익 발등에 불] 시험장에서 발음 헷갈리기 쉬운 단어 정리 (0) | 2023.06.20 |
[표준어 마지막] 복수 표준어와 새로 추가된 표준어 및 표준활용형 정리 (0) | 2023.06.17 |
[표준어 투어] 비표준어같지만 사실은 표준어인 단어들 (1) | 2023.06.17 |
[표준어 단어 RUSH] 형태를 혼동하기 쉬운 표준어 정리 한번 더.. (0) | 2023.06.16 |